2025년부터는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수령자 모두에게 희소식이 있습니다. 정부는 2024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2025년 1월부터 연금 수급액을 2.3%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연금 수령액 증가에 그치지 않고, 재평가율 조정, 기준소득월액 상한·하한액 변경, 신규 수급자 기준 개편 등 다양한 제도적 변화가 함께 진행되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이 글에서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공식 내용을 바탕으로, 2025년 적용되는 국민연금 및 기초연금 인상 내용과 주요 개편 사항을 알기 쉽게 설명드립니다.
2025 국민연금 인상률 2.3%
2025년 1월부터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기존 수급자 약 692만 명(2024년 9월 기준)은 연금 수령액이 2.3% 인상됩니다. 이는 매년 물가상승률에 따라 국민연금 수급액을 자동 조정하는 연금 물가연동제에 따라 적용되는 것으로, 올해에는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물가상승률이 기준이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매월 100만 원을 받고 있던 수급자는 2025년부터 약 102만 3천 원을 수령하게 되며, 이는 연간 기준으로 약 27만 6천 원의 추가 수령이 되는 셈입니다.
부양가족이 있다면 연금이 더 올라간다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분들 중 배우자나 자녀, 부모 등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부양가족연금도 함께 인상됩니다.
배우자: 연 29만 3,580원 → 30만 330원 (6,750원 증가)
자녀/부모: 연 19만 5,660원 → 20만 160원 (4,500원 증가)
이처럼 가족 구성원이 있는 경우 연금 총액이 소폭 늘어나, 생활비에 보탬이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배우자와 부모를 함께 부양하는 경우에는 연간 기준 10만 원이 넘는 인상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신규 수급자라면 재평가율을 꼭 확인하세요
국민연금공단 내연금 알아보기
신규 수급자라면 재평가율을 꼭 확인하세요
국민연금을 새롭게 수급하게 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재평가율입니다. 재평가율은 개인의 과거 가입기간 중 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해주는 계수로, 연금 수령 시점의 평균소득 수준을 반영하여 보다 공정한 연금 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재평가율 계산 방식
재평가율 = 수급개시 전년도 A값 ÷ 과거 해당 연도 A값
예를 들어 1988년도의 재평가율이 8.249라면, 당시 소득 100만 원은 2024년 기준으로 824만 9천 원으로 환산되어 연금 산정의 기준이 됩니다.
이렇게 과거의 소득이 현재 기준으로 변환되어 적용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성실히 납부한 사람일수록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기준소득월액 상한·하한 조정: 보험료와 연금에 모두 영향
2025년에는 국민연금의 보험료와 연금 수령액을 산정할 때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의 상·하한선도 조정됩니다. 이는 최근 3년간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A값) 변동률을 반영하여 매년 조정되는 제도입니다.
상한액: 617만 원 → 637만 원 (3.3% 인상)
하한액: 39만 원 → 40만 원
이 조정은 2025년 7월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이 오르면 고소득 가입자의 보험료도 소폭 증가하지만, 반대로 연금 수령액도 더 많아지는 긍정적 효과가 있습니다.
기초연금도 2.3% 인상된다
국민연금과 함께 기초연금 수급자 약 736만 명에게도 인상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기초연금은 매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인상되며, 2025년에도 동일하게 2.3% 인상됩니다.
이는 단독가구뿐만 아니라 부부 가구에도 동일 비율로 인상되며, 노후 생활비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핵심 용어 정리 – 헷갈리지 않도록 체크하세요
A값: 전체 국민연금 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
기준소득월액: 보험료와 연금액 산정 기준이 되는 개인의 월 소득
재평가율: 과거 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해주는 계수
기초연금 기준연금액: 정부가 정한 기초연금 기본 지급액
2025 국민연금 인상율 알아보기
나에게 적용되는 연금은 얼마일까?
이처럼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은 매년 물가와 평균소득 등 다양한 지표에 따라 조정되며, 수급자 개인의 이력에 따라 실제 수령액은 모두 달라집니다. 따라서 자신의 예상 수령액을 미리 확인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국민연금공단은 ‘내 연금 알아보기’ 서비스를 통해, 개인이 예상 수령 시점에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을 상세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로그인만 하면 과거 납부 이력, 연금 수령 시기, 연기 또는 조기 수령 효과 등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 지금 바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2025년 기준 예상 연금 수령액을 확인해보세요.
노후 준비는 이른 시점부터 시작할수록 더 든든합니다.